JoVE Logo

로그인

기사 소개

  • 요약
  • 초록
  • 서문
  • 프로토콜
  • 결과
  • 토론
  • 공개
  • 감사의 말
  • 자료
  • 참고문헌
  • 재인쇄 및 허가

요약

이 원고는 국소 마취 하에 마이크로 초음파 유도 경회음부 전립선 생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초록

전립선암은 남성에게 가장 흔한 고형 악성 종양이며 진단을 위해 조직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 원고는 국소 마취 하에 수행되는 자유형 마이크로 초음파 유도 경회음부 기술에 대해 설명하며, 이 기술은 정확성을 유지하고, 환자를 편안하게 유지하며, 부작용이 적고, 일회용품의 필요성을 최소화합니다. 이전의 마이크로 초음파 유도 경회음부 기술은 전신 마취 또는 척추 마취가 필요했습니다. 프로토콜에 설명된 주요 단계에는 (1) 국소 마취제의 배치, (2) 마이크로 초음파 이미징, (3) 음파 평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마취/생검 바늘의 시각화가 포함됩니다. 이 기법을 시행한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토에서는 68%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암 발견률이 입증되었다. 통증 점수는 일부 환자(N=20)에서 전향적으로 수집되었으며 절차적 통증 점수의 중앙값은 10점 만점에 2점이었습니다. 30일 3등급 부작용 발생률은 3%였습니다. 이러한 사건 중 하나는 아마도 전립선 생검과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우리는 마이크로 초음파 유도 경회음부 전립선 생검을 수행하기 위한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기술을 제시합니다.

서문

전립선암은 미국 남성에게 가장 흔한 고형 악성 종양으로, 2022년에 268,000명이 진단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1. 전립선암을 진단하려면 전립선 생검이 필요한데, 이는 전통적으로 직장 점막(경직장)을 통해 전립선으로 생검 바늘을 통과시켜 수행됩니다. 바늘 유도는 기존의 초음파로는 암과 양성 조직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체계적인 "블라인드" 템플릿을 따릅니다2. 미국에서는 매년 100 만 건 이상의 생검이 수행됩니다 3,4.

지난 10년 동안 이미징 및 기술의 두 가지 중요한 발전으로 안전성과 정확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첫째, 직장 점막을 피하기 위해 경회음부 생검의 사용을 늘리면 항생제 투여 없이 패혈증 위험이 감소했다 5,6. 둘째, MRI와 마이크로 초음파(Micro-US)를 사용하면 기존(5MHz) 초음파 유도를 사용한 생검에 비해 암 발견률이 향상되었다 5,7,8,9.

Micro-US는 29MHz 음파, 향상된 압전 결정 밀도 및 새로운 파동 처리를 사용하여 기존 초음파의 약 200μm에 비해 70μm의 공간 해상도를 달성합니다8. 마이크로 초음파 병변에서 전립선암의 위험을 정량화하기 위해 5점 리커트 척도(Prostate Risk Identification Using Micro-Ultrasound, PRI-MUS)를 사용하는 등급 체계가 사용된다10. 생검 코어 및 PRI-MUS 병변 위치는 Micro-US 프로브(ExactImaging, Markham, ON)의 핸들에 있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정중선을 기준으로 추적됩니다. 생검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전립선암 위치를 3D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국소 요법 및 방사선 증폭과 같은 정밀 암 치료는 추적된 코어에서 얻은 공간 정보를 통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 국소 마취 하에 마이크로 초음파 유도 경회음부 전립선 생검을 가능하게 하는 발표된 기술은 코어와 병변의 공간적 방향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이 원고는 그러한 기술을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토콜

설명된 방법은 플로리다 대학교(UF)의 경험을 기반으로 합니다. 프로토콜과 데이터 수집은 IRB(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전립선 생검의 적응증에는 의심스러운 디지털 직장 검사(DRE), 전립선 특이 항원(PSA) 상승 또는 기타 바이오마커 이상(예: 4K, ExoDx)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오른손잡이 외과의를 위해 설명되어 있습니다.

1. 마이크로 초음파 프로브 준비

  1. 마이크로 초음파 "시스템 작동 및 안전 매뉴얼"11에 따라 프로브를 소독하십시오.
  2. 프로브 덮개 끝에 약 20mL의 어쿠스틱 젤을 놓고 기포를 제거합니다. 프로브에 바늘 가이드를 놓고 프로브 덮개를 프로브 위에 놓습니다(그림 1A).
    알림: 거품은 여우풀 장난감처럼 윤활유가 있는 프로브 덮개를 회전하여 제거합니다. 원심력은 기포를 근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윤활을 원위부로 변위시킵니다.
  3. 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압전 결정 아래의 프로브 넥 주위에 고무 밴드를 놓습니다.
  4. 외과의의 선호도에 따라 생검 장비를 설정합니다.
    참고: 이 연구에 사용된 설정은 그림 1B에 나와 있습니다.

2. 환자 위치 지정 및 마취

  1. 항문이 침대 가장자리에 오도록 쇄석술 자세로 환자를 배치합니다. 편안함과 프라이버시를 개선하기 위해 머리 지지대와 생식기 드레이프를 제공합니다(그림 1C).
    참고: UF에서는 쇄석술 포지셔닝을 위한 등자가 선호됩니다.
  2. 앞서 설명한 대로 2% 점성 리도카인 젤 10mL를 직장에 놓습니다12.
    1. 이 기간 동안 환자의 편안함과 필요한 재료의 준비를 보장합니다.
  3. 항문이 외과 의사의 팔꿈치 높이가 되도록 침대 높이를 조정합니다.
  4. 환자에게 음낭을 들어 올리고 회음부를 노출시키도록 지시합니다(그림 1C).
  5. 어쿠스틱 젤을 사용하여 디지털 직장 검사를 수행합니다. 병기 결정 및 생검 표적화에 대해 뚜렷한 이상을 기록하십시오.
  6. 장갑을 끼고 베타딘 또는 클로르헥시딘으로 음낭 기저부에서 항문 아래까지 회음부 피부를 소독합니다.
  7. 항문에서 약 10-15mm 떨어진 곳에서 시작하여 10시와 2시 위치에서 회음부 연조직을 마취합니다(그림 1D).
    참고: 1:100,000 에피네프린이 포함된 1% 리도카인과 8.4% 중탄산나트륨 용액을 1:10 비율로 혼합한 2인치 25G 바늘(NaHCO3: 리도카인 1mL: 리도카인 10mL)로 시작합니다. 이를 이하 "리도카인"이라고 합니다.
  8. 바늘을 직장과 평행하게 삽입하고 바늘이 진행됨에 따라 리도카인을 주입합니다. 피부와 Colles의 근막 사이의 연조직에 약 3mL의 리도카인을 배치하고 Colles의 근막 사이에 2mL를 놓습니다(그림 2A).
    참고: 효율성을 위해 위의 단계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수행됩니다. 그러나 경험 초기에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가 골반 모양, 둔부 근육 조직 및 비만에 따라 다르므로 초음파 안내를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3. 마이크로 초음파 진단

  1. 프로브에 윤활유를 바르고 직장에 부드럽게 삽입한 다음 중간 전립선이 모니터링 모니터의 중앙에 올 때까지 전진합니다.
    알림: 항문 괄약근을 넘어 프로브 팁을 아래쪽(천골 쪽으로)으로 향하게 하여 S자형의 윤곽을 따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최소한의 불편함으로 방광 기저부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브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지 않으면 통증이 발생합니다.
  2. 마이크로 초음파 이미지 설정을 최적화합니다.
    1. 프로브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왼쪽(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의 이미징 프로브를 잡습니다. 프로브를 위로 들어 올려 전립선 기저부가 압전 결정으로부터 가장 큰 압력을 받도록 합니다. 피칭 및 리프팅 동작은 직장을 압박하고 시각화를 최적화합니다(그림 1C).
    2. 시간 보상 게인(TCG) 슬라이더를 이미지 전체에 균일한 회색 음영이 나타날 때까지 부드러운 반전 "C" 또는 "J" 모양으로 조정합니다.
    3. 마스터 게인 다이얼을 조정하여 전립선의 측면 가장자리가 잘 보이도록 하지만 전립선 중심이 너무 밝지 않도록 합니다.
      참고: 측면 전립선은 비스듬히 반사되는 초음파가 적기 때문에 중선보다 음향적으로 더 어둡습니다.
    4. 거품이나 직장 점액이 그림자를 일으키지 않는지 확인하십시오.
      참고: UF에서 기본 설정은 동적 범위, 깊이 및 초점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는 외과 의사의 선호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5. 최소한의 전립선 전립선 지방으로 전립선을 시각화할 수 있는 이미지 사전 설정(Small, Medium, LargeExtra-Large)을 선택합니다.
      알림: 이미지 최적화 및 Micro-US 작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US "시스템 작동 및 안전 매뉴얼"1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Dual/Transverse 버튼을 눌러 전립선 부피 계산을 수행하고 전립선 스윕을 수행한 다음 시상 길이와 재구성된 축 높이 및 너비를 측정합니다.
  4. 요도가 시각화될 때까지 프로브를 회전합니다. 요도의 시각화는 방광, 목 및 전립선 정점에서 가장 잘 나타납니다. 프로브를 정중선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방광, 목, 요도가 동일한 평면(요 중립)에서 보이도록 합니다.
  5. Micro-US 터치 스크린의 Angle Reset 을 눌러 프로브 가속도계를 영점 조정하십시오.
  6. 프로브가 전기 코드와 만나는 프로브의 근위 부분에 오른손을 놓습니다. 왼손은 프로브 넥 아래로 미끄러져 상향 피치 위치를 지지합니다(그림 1C).
  7. 환자에게 가만히 있으라고 말하십시오. 한 번의 동작으로 오른쪽 측면 전립선 경계(시계 방향)에서 전립선을 통해 왼쪽 가장자리까지 ~25초 동안 쓸어넘깁니다. Cine Loop 버튼을 눌러 스윕을 기록합니다.
    참고: 50mL보다 큰 전립선의 경우 정점과 기저부를 분리하여 청소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환 영역을 시각화하는 스윕을 기록하고 주변 영역을 시각화하기 위해 Small 설정에서 스윕을 기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4. 진단 평가

  1. PRI-MUS 병변에 대한 전이 영역을 평가합니다.
  2. 전이 영역이 평가되면 Small image 설정으로 전환하고 PRI-MUS 병변에 대한 주변 영역을 평가합니다.
    참고: PRI-MUS 병변11을 식별하고 등급을 매기는 경험을 얻기 위해 무료 Micro-US 진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연습을 고려하십시오.
  3. 중심 각도와 ROI가 처음 표시되고 마지막으로 표시되는 각도를 기록하여 발견된 관심 영역(ROI)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참고: UF에서는 외과의가 이러한 각도를 호출하고 생검실의 직원이 수술 노트에 기록합니다.
  4. 융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생검 전 주석이 달린 MRI를 로드하고 요도를 시각화하면서 Mid-line 버튼을 누릅니다(그림 2B).

5. 전립선 마취

  1. 6인치 20G 바늘을 사용하여 이전에 마취된 생검 요로의 피부를 뚫고 Micro-US 시각화에서 바늘을 거근 ani로 이동합니다(그림 2A).
  2. 국소 마취제 3mL를 거근 근육 복합체에 넣습니다(그림 2A).
  3. 20G 바늘을 정점 주위 삼각형(내측으로는 요도, 측면으로는 거근, 후방으로는 Denonvilliers' 근막으로 경계를 이룹니다)으로 전진시킵니다. 5-7mL의 리도카인을 치근단 삼각형에 주입합니다(그림 2A).
    참고: 등쪽 정맥 복합체(DVC)의 측면은 치근단 삼각형으로 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리도카인 주사 전에 흡인하십시오. 적절한 마취를 통해 전립선 캡슐과 Denonvilliers' 근막 사이를 수압 절제합니다.

6. 전립선 생검

  1. 14G 혈관테터 또는 15G 금속 동축 바늘(접근 바늘)을 이전에 마취된 기관을 통해 전립선 정점에서 5-10mm 이내로 삽입합니다. 접근 바늘을 항문 괄약근 위로 통과시키고 거근 ani를 통해 또는 내측으로 통과시킵니다. ROI 위치에 따라 접근 바늘과 직장 사이의 거리를 사용자 지정합니다.
  2. 직장에서 5mm 위, 요도가 보이는 전립선 중간 평면에서 15°-20° 떨어진 곳에 바늘을 사용하여 전립선 전체를 샘플링합니다(그림 1D, 10시 방향 및 2시 방향 위치).
  3. 인조네이션 플레인이 접근 바늘을 시각화하도록 프로브를 회전하고 접근 바늘 끝에서 생검 바늘 끝이 보일 때까지 생검 건을 전진시킵니다.
  4. 프로브를 회전하여 생검 대상(ROI 또는 체계적 코어)을 시각화한 다음 다시 회전하여 바이옵시 바늘 끝을 시각화합니다. 환자 외부의 생검 건을 조정하여 표적을 향한 바늘 궤적을 조정합니다.
  5. 시야에서 바늘을 전진시키고 작은 3°-10° 프로브 롤(마이크로 롤)을 완성하여 바늘 끝을 의도한 대상으로 안내합니다. 의도한 목표물을 과도하게 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팁을 시각화하는 동안에만 생검 바늘을 전진시킵니다.
    참고: 표적을 향해 더 큰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생검 바늘을 빼야 합니다. 이 기술에서 프로브는 바늘과 평행이 아닌 요도와 평행하게 유지됩니다("요잉"). 요도에 대한 생검 각도를 보존하면 암 위치를 정확하게 재건할 수 있고 환자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음향 평면에서 분리되었을 때 바늘을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레지던트, 펠로우 및 기타 의사를 가르친 경험에 따르면 이 기술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근육 기억에는 약 3시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전립선 팬텀 또는 시뮬레이터13 에서 연습하여 생검 전에 필요한 근육 기억을 구축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마취된 환자에게 초기에 이 기술을 수행하면 클리닉 기반 실습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6. 생검 샘플을 얻기 전에 요도로 굴리고 각도가 0° 위치에서 1°-2° 이내인지 확인합니다. 프레임 또는 시네 루프를 캡처하여 각 바이옵시 던지기의 각도 위치를 기록합니다.
    참고: 관례에 따라 오른쪽(시계 반대 방향) 회전은 양의 각도로 표시되고 왼쪽(시계 방향) 회전은 음의 각도로 표시됩니다.
  7. ROI를 통해 분포된 3개의 생검 코어를 얻는 것으로 시작합니다(그림 2C).
  8. 경회음부 전신 생검 수행을 고려하십시오(그림 3). 효율성을 위해 ROI에 동측으로 체계적인 생검을 시작합니다. ROI가 앞쪽에 있는 경우 동축 바늘을 낮추어 말초 영역의 체계적인 생검 샘플링을 개선합니다.
    참고: 이 연구는 14코어 체계적 생검을 수행했습니다(그림 3).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체계적인 생검을 건너뛸 수 있습니다: 1) 이전에 샘플링된 ROI와 겹치는 체계적인 코어, 2) 한 번의 투구로 정점과 기저를 샘플링하는 작은 전립선. 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정점 전립선 캡슐에서 던지기를 시작하여 정점 생검을 얻습니다. 기저 생검은 중간 땀샘에서 던지기를 시작하여 얻습니다.

7. 절차 종료

  1. 모든 생검을 획득한 후 동축 바늘과 초음파 프로브를 제거합니다.
  2. 천자 부위 지혈이 이루어질 때까지 수건으로 회음부를 1-5분 동안 누릅니다.
  3. 환자가 앉은 자세로 그리고 1분 후에 서 있는 자세로 돕는다.
  4. 환자에게 일과성 혈뇨와 혈정자증이 예상되도록 상담합니다.
  5. 기준선이 제한된 요로 스트림 알파 차단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필요에 따라 조제하도록 처방합니다.

결과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IRB202200022)까지 전향적으로 유지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후향적 분석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암(csPCa)은 ≥등급 그룹 2(Gleason 3 + 4 = 7) 전립선암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암 발견률(CDR)은 ≥GG2/총 환자로 계산되었습니다. 통증 점수는 기준선, 국소 마취 배치, 직장 프로브 삽입 시 및 생검 중에 1-10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되었습니다. 시술 후 2주에 환자와 부작용에 대해 논의했으며, 조직 검사 후 30일 이내에 차트 검토에 포착된 사례를 문서화했습니다. 부작용은 CTEP(Cancer Therapy Evaluation Program) 등급 및 귀인 가이드를 사용하여 등급이 매겨졌습니다.

국소 마취 하에 Micro-US 유도, 클리닉 기반 경회음부 생검을 받은 100명의 환자를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환자당 CDR은 68%였다. CDR은 각 병변의 PI-RADS(전립선 이미지 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 및 PRI-MUS 점수에 따라 달랐습니다(표 1).

통증 점수는 나중에 환자의 하위 집합(N = 20)에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통증 중앙값(IQR) 점수는 기준선에서 0(0, 1), 국소 마취 투여 중 2(1, 4), 경직장 프로브 배치 중 2(1, 5), 전립선 생검 중 2(0, 5)였습니다.

부작용은 비교적 드물었으며, 3등급 부작용 발생률은 3%였다(표 2). 등급 IV 또는 등급 V 이벤트는 없었습니다. 2등급 사건은 주로 느린 소변 흐름을 완화하기 위한 알파 차단제의 새로운 처방과 관련이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자들은 조직 검사 전에 증상을 선별 검사했습니다. 3등급 사건에는 3명의 환자가 입원한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CTEP 귀인 가이드에 따르면, 증상이 있는 저혈압으로 인한 한 건의 입원은 리도카인 흡수에 이차적인 전립선 생검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는 모니터링 후 12시간 이내에 증상이 자발적으로 해결되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추가로 2명의 환자가 조직 검사 후 30일 이내에 입원했습니다(기계적 낙상 및 정신 상태 변화). 그들은 우연히도 비패혈성 및 무증상 요로감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생검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언급된 이러한 특정 환자를 제외하고는 패혈증, 전립선염, 방광염 또는 기타 감염 사례는 없었습니다.

figure-results-1426
그림 1: 마이크로 초음파 설정, 생검 트레이 및 바늘 배치. (A) 외과의의 오른쪽에 ExactVu 기계를 놓고 수술실을 설정한 모습. (B) (a) 베타딘에 적신 4cm x 4cm 거즈 패드, (b) 2% 리도카인 젤 10mL, (c) 2인치 25G 바늘과 6인치 20G 바늘이 있는 2x 20mL 주사기에 8.4% 중탄산나트륨 용액 2mL(NaHCO3: 리도카인 10mL)와 함께 분배된 1:100,000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1%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생검 테이블, (d) 14G 혈관덮개 또는 동축 금속 바늘, (e) 생검 건, (f) 폼 생검 패드 및 포르말린 용기. (C) 진단 스윕을 수행하기 위한 손 위치. 왼손은 전립선에 가해지는 상향 압력을 지지하고 오른손은 프로브를 회전시킵니다. (D) 동축바늘 또는 혈관테터 위치: 우측 전립선의 경우 10시 방향, 좌측 전립선의 경우 2시 방향(표시되지 않음).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results-2292
그림 2: 전립선 해부학 및 생검의 시연. (A) 거근 ani와 치근단 삼각형의 시각화; 둘 다 이 기술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마취해야 하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B) 생검 전 MRI와 해부학적으로 일치하는 PRI-MUS 5 병변의 시연. (C) 표적을 횡단하는 생검 바늘의 육안 확인.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results-2833
그림 3: 제안된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생검 템플릿. 이 템플릿은 Michigan Urologic Surgery Improvement Collaborative(MUSIC)14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템플릿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 템플릿은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었습니다. (i) 전방 영역 샘플링 증가(4코어 대 2코어), (ii) 3D 모델을 사용하여 코어 위치의 시각적 표시를 크게 개선, (iii)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코어 명명법을 수정했습니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이미징 음성(PRI-MUS ≤ 2) 조직 내에서 ROI 생검 후 체계적인 생검을 수행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파이-래드 5파이 - 래드 4파이 - 래드 3
프리머스 595% (n = 20)80% (엔 = 15)100% (n = 1)
프리무스 4100% (n = 1)69%(n = 13)75% (n = 4)
프리머스 30% (n = 0)33% (n = 3)해당 없음

표 1: PI-RAD 및 PRI-MUS 점수에 의해 계층화된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암 검출. 생검 시 MRI와 마이크로 초음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암 검출률(CDR). CDR은 PI-RADS(열) 및 PRI-MUS 점수(행)에 의해 계층화됩니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 수는 괄호 안에 기록됩니다.

CLAVIEN DINDO 등급투사
등급 I4% (n = 4)
등급 II5% (n = 5)
3급3% (n = 3)
등급 IV0% (n = 0)
등급 V0% (n = 0)

표 2: 등급별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 전립선 생검 후 30일 이내에 부작용이 있는 환자의 비율. 3등급 부작용은 비패혈성 사건으로 인한 입원이었으며, 그 중 하나는 아마도 조직 검사와 관련이 있었고 그 중 2개는 조직 검사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토론

이 원고는 국소 마취 하에 Micro-US 유도, 자유, 경회음부 전립선 생검의 절차와 결과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것은 생검 핵심 위치와 환자의 편안함을 보존하는 기술에 대한 첫 번째 설명입니다.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 절차는 정확하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최소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예방적 항생제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패혈증이나 전립선염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여기에 사용된 샘플의 결과는 경회음부 생검에서 예방적 항생제의 이점을 발견하지 못한 NORAPP 시험의 결과와 합병증 비율을 확증합니다6.

절차의 중요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2.6단계와 5단계에서 언급한 소독 및 마취는 환자의 편안함을 유지하면서 직장벽이 아닌 회음부를 가로질러 감염률을 낮추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섹션 4는 생검 표적에 대한 ROI를 설명하여 전립선의 문제가 있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샘플링하면서 더 적은 코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경회음부 생검은 패혈증 발생률이 0이라는 점 15,16, 전방 종양 시료 채취의 정확성, 항생제 관리 및 가이드라인 권고17,18 등을 감안할 때 다른 방법에 비해 인기를 얻고 있다. 동시에 Micro-US는 정확한 암 이미징 방식, 간단한 융합 플랫폼 및 독립적인 이미징 바이오마커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9,19. 이전의 Micro-US 유도 경회음부 기술은 42%의 우수한 CDR을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바늘 가이드를 사용하여 바늘과 음향 평면을 정렬했습니다. 가이드를 사용하면 학습 곡선이 개선되지만, 각 생검 천자가 새로운 부위20을 통해 들어가기 때문에 전신 마취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생검을 수술실로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68%의 CDR을 보고했으며, 이는 이 자유형 기술이 바늘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당사 기술의 정확성, 내약성 및 최소한의 부작용은 특정 제한 내에서 해석되어야 합니다. 생검 바늘을 찾고 지시하기 위해 시뮬레이터 또는 팬텀에 대한 약 3시간의 실습이 필요합니다. Micro-US 이미지 해석을 배우려면 추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표적 생검 및 체계적 생검을 수행하면 17개 이상의 생검 코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최대 30분의 시술 시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우수한 암 발견률을 보고하고 있지만, 이 기술의 성공은 부분적으로 csPCa21의 <15%로 계산된 환자에서 전립선 생검을 생략하는 관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사용된 체계적인 생검 템플릿은 전립선의 가장 위험도가 높은 부위를 샘플링하지만 다른 경회음부 생검 템플릿과 비교된 적은 없습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은 몇 가지 장점이 있으며, 특히 클리닉 기반 환경에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또한 micro-US 프로브의 위치 추적을 통해 외과적 절제, 방사선 증폭 또는 국소 요법을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암 위치를 3D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Micro-US는 최근 전립선 생검의 개선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국소 마취 하에 클리닉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경회음부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Micro-US의 진단 능력에 대한 추가 평가 및 개선이 필요하지만, 이 기술을 채택한 외과의는 구현이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공개

없음.

감사의 말

없음.

자료

NameCompanyCatalog NumberComments
14 ga AngiocatheterBD AngiocathBD382269
AquasonicParker LabsAquasonic 100
Biopsy NeedleBardMaxCore
Biopsy Sponge 2 mm x 25.4 mm x 30.2 mmMcKesson1019107
ExactVu Micro-Ultrasound MachineExactImaging
ExactVu Micro-Ultrasound Probe (EV29L)ExactImaging
Guaze Sponge McKesson Cotton 12-Ply 4'' x 4''McKesson762703
Hypodermic Needle 25 G 1.5 inchMcKesson42142523
Lidocaine 1% with Epinephrine 1:100,000NA
Lidocaine 2% Gel, 20 mLURO-Jet76329301505
Probe CoverExactImaging
Skin Prep Solution betadine (10%)McKesson1073829
Spinal Needle 20 G, 6 inchMcKesson992546
TruGuideBardC1616A

참고문헌

  1. Siegel, R. L., Miller, K. D., Fuchs, H. E., Jemal, A. Cancer statistics, 2022.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2 (1), 7-33 (2022).
  2. Onur, R., Littrup, P. J., Pontes, J. E., Bianco, F. J. Contemporary impact of transrectal ultrasound lesions for prostate cancer detection. The Journal of Urology. 172 (2), 512-514 (2004).
  3. Loeb, S., Carter, H. B., Berndt, S. I., Ricker, W., Schaeffer, E. M. Complications after prostate biopsy: Data from SEER-Medicare. The Journal of Urology. 186 (5), 1830-1834 (2011).
  4. Borghesi, M., et al. Complications after systematic, random, and image-guided prostate biopsy. European Urology. 71 (3), 353-365 (2017).
  5. Pradere, B., et al. Nonantibiotic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complications following prostate biop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Urology. 205 (3), 653-663 (2021).
  6. Jacewicz, M., et al. Antibiotic prophylaxis versus no antibiotic prophylaxis in transperineal prostate biopsies (NORAPP): A randomised, open-label, non-inferiority trial.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22 (10), 1465-1471 (2022).
  7. Ahmed, H. U.,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multi-parametric MRI and TRUS biopsy in prostate cancer (PROMIS): A paired validating confirmatory study. The Lancet. 389 (10071), 815-822 (2017).
  8. Kasivisvanathan, V., et al. MRI-targeted or standard biopsy for prostate-cancer diagn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8 (19), 1767 (2018).
  9. Sountoulides, P., et al. Micro-ultrasound-guided vs multipara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targeted biopsy in the detection of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Urology. 205 (5), 1254-1262 (2021).
  10. Ghai, S., et al. Assessing cancer risk on novel 29 MHz micro-ultrasound images of the prostate: Creation of the micro-ultrasound protocol for prostate risk identification. The Journal of Urology. 196 (2), 562-569 (2016).
  11. Exact Imaging E-learning. Exact Imaging Available from: https://elearn.exactimaging.com/learn (2022)
  12. Siddiqui, E. J., Ali, S., Koneru, S. The rectal administration of lignocaine gel and periprostatic lignocaine infiltration during transrectal ultrasound-guided prostate biopsy provides effective analgesia.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88 (2), 218-221 (2006).
  13. Zhang, Z., et al. Attitude is everything: Keep probe pitch neutral during side-fire prostate biopsy. A simulator study. BJU International. 128 (5), 615-624 (2021).
  14. Prostate Biopsy. Michigan Urological Surgery Improvement Collaborative (MUSIC) Available from: https://musicurology.com/programs/prostate/transperinealbiopsy/ (2022)
  15. Sigle, A., et al. Safety and side effects of transperineal prostate biopsy without antibiotic prophylaxis. Urologic Oncology: Seminars and Original Investigations. 39 (11), (2021).
  16. Grummet, J. P., et al. Sepsis and "superbugs": Should we favour the transperineal over the transrectal approach for prostate biopsy. BJU International. 114 (3), 384-388 (2014).
  17. Pilatz, A., et al.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position paper on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complications following prostate biopsy. European Urology. 79 (1), 11-15 (2021).
  18. Meyer, A. R., et al. Transperineal prostate biopsy improves the detec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prostate cancer among men on active surveillance. The Journal of Urology. 205 (4), 1069-1074 (2021).
  19. Avolio, P. P., et al. The use of 29 MHz transrectal micro-ultrasound to stratify the prostate cancer risk in patients with PI-RADS III lesions at multiparametric MRI: A single institutional analysis. Urologic Oncology: Seminars and Original Investigations. 39 (12), 1-7 (2021).
  20. Rodríguez Socarrás, M. E., et al. Prostate mapping for cancer diagnosis: The Madrid protocol. Transperineal prostate biopsies using multipara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fusion and micro-ultrasound guided biopsies. The Journal of Urology. 204 (4), 726-733 (2020).
  21. Kinnaird, A., et al. A prostate cancer risk calculator: Use of clin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ata to predict biopsy outcome in North American men.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Journal. 16 (3), 161-166 (2022).

재인쇄 및 허가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

더 많은 기사 탐색

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