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Article
우측 후방 간엽에 대한 글리손 척추경 결찰술을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해부학적 간 절제술(MIALR)은 종양 파열, 출혈 및 허혈-재관류 손상(IRI)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수술 방법인 PSDGP(Glissonean pedicle의 말초 빼기 절제)를 제안합니다.
최소 침습적 해부학적 간 절제술(MIALR)은 최근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간담도 수술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츠시 스기오카(Atsushi Sugioka)의 게이트 이론(Gate Theory)과 같은 글리소니안 척추경의 해부는 MIALR의 근본적인 작동 기술을 나타냅니다. 이 기술은 Laennec 캡슐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하므로 과학적으로 엄격한 방식으로 MIALR을 촉진하고 구현합니다. 그러나 임상 실습에서 MIALR 중에 출혈, 허혈-재관류 손상(IRI) 및 종양 파열과 같은 잠재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Glissonean pedicles(Glissonean pedicles)의 분기점 근처 오른쪽 후방 간엽에 위치한 종양에 적용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hilar cholangiocarcinoma 제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는 이러한 잠재적인 합병증을 완화하기 위해 고안된 PSDGP(Glissonean pedicle)의 말초 빼기 절제라고 하는 독특한 수술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 간 종양에 대한 MIALR의 PSDGP 시술 중에, 낭포성 플레이트 접근법은 간외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처음에는 비흡수성 봉합사가 비외상성 겸자(또는 유사한 기구)의 안내에 따라 게이트 VI에서 게이트 IV로 연결됩니다. 그 후, 비외상성 겸자는 게이트 V를 다시 통과하여 게이트 IV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회수합니다. 마지막으로, Gate V와 Gate VI는 모두 오른쪽 후방 Glissonean pedicle의 분리를 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종양 절제술의 노터치(no-touch) 및 엔블록(en-bloc)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기 때문에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더 나은 종양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강경 간 수술은 산발적인 간 절제술에서 정밀한 최소 침습적 해부학적 간 절제술(MIALR)로 발전하면서 30년 이상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발되어 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한 주목을 받으며 간담도 수술에서 두드러진 영역이 되었습니다 1,2,3,4,5. 이 기술은 수술 부위의 향상된 시각화 및 확대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여 정밀한 수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글리소니안 척추경(Glissonean pedicles) 접근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개선은 MIALR의 기본 기술로, 안전성, 효율성 및 정확성을 보장한다 3,4,5. 아츠시 스기오카(Atsushi Sugioka)의 게이트 이론(Gate Theory)은 라에넥 캡슐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널리 인정받고 있는 잘 정립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6,7 (그림 1A,B). 또한 MIALR에 대한 수술 절차에 대해 설명하며, 여기에는 간엽에 해당하는 Glissonean pedicle의 초기 격리 및 결찰이 포함된 후 엽 절제가 포함됩니다.
임상에서 우측 후방 간엽의 기존 간절제술은 일반적으로 Rouviere의 홈에서 우측 후방 글리손 척추경을 절개 및 결찰하거나 porta 7,8을 통해 Gate V 및 Gate VI에 직접 접근하여 수행됩니다. 그러나 수술의 한계, 촉각 민감도 감소, 전반적인 시각 제어 능력 저하 및 해부학적 변화로 인해 간에서 Glissonean pedicle의 분기점 근처에 위치한 종양(hilar cholangiocarcinoma 제외)의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수술 중 혼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후방 문맥의 변이 혈관에 대한 부주의한 손상, 그에 따른 출혈 및 종양 캡슐의 파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9,10,11. 또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측 후방간엽 또는 간십이지장 인대 또는 우측 글리소니안 척추경을 폐색하는 기존의 간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2,3. 그러나 이러한 폐색은 간의 종양이 있는 쪽에 허혈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정상 쪽에도 영향을 미쳐 간 허혈-재관류 손상(IRI)을 악화시킵니다1,12.
Takasaki 등은 이전에 빼기 방법 7,8을 사용하여 후방 단면 척추경의 간외 격리를 설명했으며, Sugioka 및 Kato는 말초 분절 척추경의 간외 격리를 위한 빼기 기술을 설명했습니다13.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Glissonean pedicle(PSDGP)의 말초 빼기 절제와 관련하여 간 절제술과 일치하며, 직접적인 pedicle 격리 중 pedicle 손상 또는 종양 파열을 완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에서 글리소네안 척추경의 분기점 근처에 위치한 특정 종양 유형(문골 담관암 제외)에 대한 PSDGP 기술의 사용을 제안합니다. 주요 목표는 우측 후방 간경이 분리되는 동안 출혈 위험을 완화하고 종양낭의 파열을 방지하는 동시에 잔류 간의 IRI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1. 환자 선택
2. 수술 절차
3. 척추경 관리
4. 수술 후 환자 관리 및 모니터링
수술은 176분 만에 끝났으며, 수술 중 출혈이 50mL로 적었고 수혈도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오른쪽 글리소니안 척추경은 두 번 폐색되었는데, 첫 번째 폐색은 15분, 두 번째는 20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시술 중 간십이지장 인대가 폐색되지 않았으며, 오른쪽 간정맥을 보존하면서 왼쪽 간에 적절한 혈액 공급이 유지되었습니다(그림 4C). 단기적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환자의 수술 후 회복은 성공적이었습니다. 총 입원 기간은 11일이었으며 수술 후 입원 기간은 9일이었습니다.
수술 후 5일째에는 수술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향상된 CT 스캔을 수행했습니다. 수술 전 CT와 비교했을 때, 우측 간정맥(RHV)은 혈관 협착증이나 혈전증의 증거 없이 원활한 혈류를 보였다(그림 5A,B). 주문맥(PV)과 오른쪽 가지가 오른쪽 전방 가지로 계속되는 것을 포함하여 왼쪽 및 오른쪽 가지는 혈관 협착증이나 혈전증의 징후 없이 정상으로 보였습니다. 또한, 간 주변에서 혈종이나 삼출액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그림 5C,D).
수술 후 1일째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수치는 354 U/L였으나 5일째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총 빌리루빈 수치는 수술 전후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수술 전후에 여러 번 모니터링된 응고 기능 지표는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었습니다. 또한, 알파태아단백(AFP) 수치는 수술 전 1,210ng/mL에서 수술 후 36ng/mL로 감소했다(표 1).
그림 1: 간 막의 해부학적 구조. (A) 정면에서 본 4개의 해부학적 랜드마크와 6개의 게이트의 개략도. 이러한 랜드마크와 게이트를 인식하는 것은 간외 글리슨 척추경 격리의 표준화에 필수적입니다. (B) 꼬리 보기에서 6개의 게이트와 Laennec의 캡슐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6개의 게이트와 Laennec의 캡슐(빨간색 영역으로 표시) 사이의 관계가 표시됩니다. Laennec의 캡슐과 Glisson pedicle (플레이트 시스템) 사이의 틈은이 6 개의 게이트를 통해서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 I: 아란티우스 판의 꼬리 끝; 게이트 II : 둥근 인대와 제대판 사이의 접합부; 게이트 III: 탯줄 부분의 Glisson 척추 뿌리의 오른쪽 가장자리; 게이트 IV : 낭포성 판 또는 전방 Glisson 척추경의 뒤쪽 말단의 왼쪽 가장자리; 게이트 V : 오른쪽 주요 Glisson 척추경의 분기; 게이트 VI: 후방 글리슨 척추경(posterior Glisson pedicle)과 G1c 사이의 공간. (C) 외상성 겸자는 담낭을 수축시키는 데 사용되며, 낭포성 플레이트를 따라 Laennec의 막을 완전히 해부하여 담낭을 Calot의 삼각형의 뿌리까지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2: 글리슨 척추경(Glisson pedicle)의 노출. (A) 프링글 기동(Pringle maneuver)은 초기 포르타 간염(porta hepatis)을 폐색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비외상성 겸자는 간 분절 4b와 문턱판을 수축시키는 데 사용되며, 또 다른 비외상성 겸자는 Laennec의 캡슐을 부드럽게 분리합니다. (B) 간문(liver hilum)의 분절 4(segment 4)의 기저부에 있는 내장 복막(visceral peritoneum)이 노출되어 있습니다. (C) 문턱판을 완전히 해부하면 오른쪽 글리슨 척추경이 완전히 노출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3: 글리소니안 척추경의 말초 감산 절제. (A) 골드 핑거(또는 손상이 없는 겸자)는 비흡수성 봉합사의 b 끝을 게이트 VI에서 게이트 IV로 안내하는 데 사용됩니다. (B) 골드 핑거는 비흡수성 봉합사의 b 끝을 게이트 IV에서 게이트 V로 안내하는 데 사용됩니다.(C) 비흡수성 봉합사의 a 및 b 끝을 조작하면 오른쪽 후방 글리슨 척추경에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림 A-1, B-1, C-1의 주황색 및 파란색 화살표는 비흡수성 봉합사의 궤적을 나타냅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4: 간의 정확한 해부학적 절제술. (A) 우측 후방 글리슨 척추경의 결찰은 우측 후방 간엽에 명백한 허혈을 초래합니다(흰색 점선은 경계를 나타냄). (B) 우측 글리슨 척추경의 결찰은 우측 반구에 명백한 허혈을 초래합니다(노란색 점선은 경계를 나타냄). 오른쪽 후방 글리슨 척추경이 이미 결찰된 것을 감안할 때, 오른쪽 글리슨 척추경의 폐색은 오른쪽 전방 글리슨 척추경을 막는 것과 같습니다. (C) 수술 중 우측 간정맥(RHV)을 보존하여 우측 후방 간엽의 정확한 해부학적 절제술을 시행합니다(파란색 점선은 RHV 변형을 나타냄).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5: 수술 전과 수술 후의 간 형태 비교 분석.(A) 수술 전 강화 CT 영상은 좌측, 중측, 우측 간정맥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여줍니다(점선은 간정맥의 1차 경과를 나타냄). (B) 수술 후 5일째에 획득한 향상된 CT 영상에서 좌측, 중측, 우측 간정맥이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C-D) 수술 후 향상된 CT 영상은 문맥의 좌우 가지와 오른쪽 간정맥이 혈관 협착증이나 혈전증의 증거 없이 정상적인 과정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간주위 영역에서 출혈이나 삼출액이 관찰되지 않습니다(실선은 문맥의 1차 경과를 나타냄).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항목 | 결과 | |
작동 시간(분) | 176 | |
수술 중 출혈량(mL) | 50 | |
수혈량(mL) | 0 | |
혈관 폐색 시간(분)을 위한 프링글 조작 | 35(15+20) | |
수술 후 합병증 | 없음 | |
입원 기간(일) | 11 | |
수술 후 입원(당일) | 9 | |
ALT와 아밀라아제의 수술 전 수준 | 19 | |
POD1의 ALT 아밀라아제 수치 (U/L) | 354 | |
POD3의 ALT 아밀라아제 수치 (U/L) | 132 | |
POD5의 ALT 아밀라아제 수치 (U/L) | 31 | |
AST와 아밀라아제의 수술 전 수치 | 23 | |
POD1의 AST 아밀라아제 수치 (U/L) | 381 | |
POD3의 AST 아밀라아제 수치 (U/L) | 119 | |
POD5의 AST 아밀라아제 수치 (U/L) | 22 | |
수술 전 Tbil 수준(ng/mL) | 16.9 | |
POD1의 Tbil 수준(ng/mL) | 25.8 | |
POD3의 Tbil 수준(ng/mL) | 19.7 | |
POD5의 Tbil 수준(ng/mL) | 18.5 | |
수술 전 응고 기능(TT/APTT/PT/FIB) | 보통 | |
후결 응고 기능(TT/APTT/PT/FIB) | 보통 | |
수술 전 AFP 수준(ng/mL) | 1210 | |
수술 후 AFP 수준(ng/mL) | 36 |
표 1: 수술 중 및 수술 후 매개변수.
글리소니안 척추경의 체외 박리 방법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편리하여 MIALR 2,3,7,13의 기본 기술입니다. Glissonean pedicles와 그 가지는 간엽에 혈액 공급을 제공하고 담즙 유출을 촉진합니다. 수술 중 글리소니안 척추경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절개하는 것은 MIALR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Laennec의 캡슐 해부학 이론에 기초한 Atsushi Sugioka의 "Gate Theory"에 따르면, 외과 적 절차는 "게이트"를 가이드로, Laennec의 캡슐을 경계 1,2,7,14로 사용하여 Glissonean pedicles의 해부학 적 접근 방식과 수준을 정확하게 결정합니다. "게이트 이론"을 적용하는 데 있어 주요 작동 공간은 Laennec의 캡슐과 Glissonean 덮개 사이의 간격에 있습니다. 간의 문맥 시스템은 첫 번째 간 문맥 영역에서 두껍고 융합된 글리소네안 캡슐에 의해 형성되며, 간판, 담낭판, 배꼽 정맥판 및 아란티우스 판 2,7의 네 가지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
간판과 낭포성 플레이트에 대한 수술 기법은 이제 비교적 성숙한 단계에 도달했으며 점차 MIALR 수술에서 없어서는 안 될 단계로 발전해 왔습니다. MIALR 수술에서 중요한 단계는 종양의 위치에 따라 해당 글리손 척추경을 결찰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문을 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좌측 편측 절제술은 게이트 1과 게이트 3을 통과해야 합니다. 좌측 단면 절제술은 게이트 1과 게이트 2를 통과해야 합니다. 좌측 내측 절제술은 게이트 2와 게이트 3을 통과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오른쪽 편측 절제술은 게이트 4와 게이트 6을 통과해야 합니다. 우측 전방 분절 절제술은 게이트 4와 게이트 5를 통과해야 합니다. 우측 후분절 절제술은 게이트 5를 통과해야 합니다.
그러나 고관절암(hilar-cholangiocarcinoma)을 제외한 글리소니안 척추경(Glissonean pedicle)의 분기점 근처 우측 후간엽(posterior hepatic lobe)에 위치한 종양에 대한 임상 실습에서 MIALR 중에 출혈 및 종양낭 파열의 잠재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5,6,13.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PSDGP 방법을 통해 오른쪽 후방 글리손 척추경에 간접적으로 도달하여 게이트 V와 게이트 VI를 통한 직접 통과를 우회합니다. 간접 박리를 통해 얻은 오른쪽 후방 글리손 척추경은 직접 박리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우측 글리손 척추경의 효과적인 제어는 게이트 4에서 게이트 6에 접근하여 우측 후방 간엽 절제술 중 혈류 폐색을 촉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우측 글리소네 척추경의 선택적 폐색은 직접 간십이지장 인대 폐색의 기존 방법에 비해 좌측 간엽의 혈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최대 30분 이상 유지될 수 있습니다 15,16,17. 이 접근법은 간허혈-재관류 손상(IRI)을 감소시키고 수술 후 간 기능 회복을 가속화한다18. 둘째, 오른쪽 후방 글리손 척추경에 접근하는 것은 깊은 해부학적 위치와 해부학적 변형의 존재로 인해 심각한 외과적 어려움을 제기합니다. 이 척추경에 접근하기 위해 게이트 V에서 게이트 VI로 직접 건너가는 것은 해부학적 변화를 의도치 않게 간과하게 하여 주변 막질 구조를 손상시키고 출혈을 유발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14,19. 마지막으로, 양성 종양을 절제하는 동안 혈관 기형과 같은 종양 파열의 상당한 위험이 존재하며, 이는 글리손 꽃자루를 절제할 때 상당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악성인 경우, 글리소니안 척추경 절제 중 파열은 출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노터치" 및 "일괄적" 절제의 원칙을 위반합니다. 양성이든 악성이든 종양이 간의 오른쪽 후엽에 위치할 때, 특히 종양 직경이 3cm 이상이고 주요 혈관과 담관 근처의 7번 분절에 위치할 경우 외과적 절제술이 특히 까다로워집니다. 따라서 PSDGP 기법은 우측 전엽의 글리소니안 척추경을 효과적으로 폐색하여 출혈을 조절하고 좌측 간실질의 IRI를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MIALR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간엽절제술을 위한 수술 전 계획에는 정확한 수술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CT, MRI 및 보조 3D 시각화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4,8,20. 수술 중 글리소니안 척추경 절제는 게이트 이론(Gate Theory)의 원칙을 따르며, 수술 중 초음파 및 형광 영상은 간 절제술을 정확하게 찾고 안내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외과의가 수술 전 계획에 따라 MIALR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연구는 수술 절차 중 Laennec의 캡슐에 PSDGP 접근법을 구현하면 오른쪽 후방 글리손 척추경을 분리하면서 정확한 MIALR을 가능하게 한다고 제안합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저개발 국가 또는 의료 센터에서 초음파 장비 및 인도시아닌 녹색 형광 이미징 장치에 대한 접근이 제한된 지역에서 이 기술은 오른쪽 후방 글리손 척추경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척추경이 누락되지 않도록 합니다. 그 후, 간 실질은 간 표면의 허혈선을 따라 절개되어 기저 우측 간 정맥에 대한 명확한 시각화를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오른쪽 간 정맥의 정확한 식별과 완전한 절개를 기반으로 오른쪽 후엽의 세심한 절제가 수행됩니다.
PSDGP 시술 중에 Laennec의 캡슐을 따라 우측 글리소니안 척추경(Glissonean pedicle)과 오른쪽 전방 글리소니안 척추경(anterior Glissonean pedicle)을 절개하고, 우측 후방 글리소니안 척추경(posterior Glissonean pedicles)은 글리소니안 척추경초(Glissonean pedicle sheath) 바깥쪽에서 빼기 해부를 통해 얻어져 척추경과 주변 결합 조직을 모두 효과적으로 결찰했다 7,9,10. 외과 의사는 후방 척추경에 대한 Glissonean 척추경을 빼서 해부하는 동안 오른쪽 주요 척추경에서 갈라져 나온 미상 척추경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Gates IV 및 VI의 정확한 해부는 후방 척추경에 대한 PSDGP의 첫 번째 단계로서 오른쪽 척추경 분리에 가장 중요합니다. 이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게이트 IV와 VI는 미상 돌기(G1c)와 주위 부분(G1r)의 척추경의 분지 지점 바깥쪽 오른쪽에서 주의 깊게 해부해야 합니다. G1c 또는 G1r이 오른쪽 척추경 분리의 슬링 테이프에 관여하는 경우, 이러한 미상 척추경은 후속 절삭 해부 동안 잠재적인 후방 척추경에 포함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PSDGP 절차의 맥락에서, 담석 절제술은 담석과 같은 양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담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시에 시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담낭을 가진 환자를 위한 PSDGP 기술과 관련된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 환자의 명시적인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또한, 일본의 Cho A 교수와 동료들에 따르면21,22,23, 글리손 척추경의 분지점을 둘러싼 변이 혈관의 결찰은 분절 5의 일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절제 가장자리에서 국소 간 허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수술 전에 계획된 절제술에 비해 수술 후 간 비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문맥 배액 영역에서 간 절제 치수의 이론적 증가는 유의하지 않지만 PSDGP 절차의 임상적 타당성, 안전성 및 한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임상 실습에 따르면 PSDGP는 좌측 측엽, 좌측 내측 엽 및 간의 양쪽 엽을 포함하는 절제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상 적용에서 타당성, 안전성 및 한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제한된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센터에서 수행된 후향적 분석입니다. 그 중 절반은 양성 종양으로, 나머지 절반은 악성 종양 진단을 받았습니다. 장기 추적 결과는 현재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종양학에서 PSDGP의 기술적 측면, 적응증, 금기 사항 및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검증이 필요합니다. 향후 연구 목표는 현재 진행 중입니다.
저자는 공개할 이해 상충이나 재정적 유대 관계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쓰촨성 의학 과학 기술 혁신 연구 협회(프로젝트 코드: YCH-KY-YCZD2024-075)의 재정 지원을 받았습니다.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Electrocantery | Hangzhou Kangji Medical Instrument Co., Ltd | KJ-SJ0205 | Sterile,dry heat sterilized, reusable |
Gold finger | Hangzhou Kangji Medical Instrument Co., Ltd | 101.237Φ10*350mm | Sterile,dry heat sterilized, reusable |
Non-absorbable suture | Johnson & Johnson MEDICAL (CHINA) Ltd | 2-0/W2512 | Sterile, ethylene oxide sterilized, disposable |
Non-traumatic forceps | Hangzhou Kangji Medical Instrument Co., Ltd | Φ10×260 | Sterile,dry heat sterilized, reusable |
Soft rubber ureteric catheter | Yangzhou Jinhuan Medical Appliance factory | Type A 5.3mm(16Fr) | Sterile, ethylene oxide sterilized, disposable |
Trocar | Zhejiang Geyi Medical Instrument Co.,Ltd | GYTR-I Φ5/Φ10/Φ12 | Sterile, ethylene oxide sterilized, disposable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