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Article
우심실의 압력과 부피 과부하가 결합된 새로운 회복 새끼 돼지 심장 모델은 삼첨판 기능 연구를 위해 설명됩니다.
삼첨판 판막(TV)이 부피 증가 또는 압력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하는 심장 상태는 조기 판막 부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조기 TV 고장의 원인이 되는 근본적인 병태 생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계론적 연구는 부족합니다. 인간을 대상으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동물 모델이 필요합니다. 이 원고에서는 부피 및 압력 스트레스를 결합한 상태에서 TV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만성 회복 유아 새끼 돼지 심장 모델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우심실과 TV의 부피 부하가 폐동맥 판막의 파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런 다음 폐동맥 밴드의 배치를 통해 압력 부하가 이루어집니다. 이 모델의 성공 여부는 중재 수술 후 4주 후에 심장초음파검사, 심장내압 측정 및 심장 표본의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평가됩니다.
일반 TV는 낮은 볼륨 및 압력 스트레스 환경에서 작동합니다. 그러나 TV가 선천적으로 기형이거나 심장 생리학적으로 우심실과 TV가 부피 증가(예: 예압) 및/또는 압력(후부하) 스트레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소아 및 성인 심장 질환이 있습니다(예: Fallot의 사지학, 엡스타인의 기형, 선천적으로 교정된 대동맥 전위, 심방 전환 시술 후 대동맥 전위, 심방 전환 시술 후 대동맥 전위, 특발성 폐고혈압 및 저형성 좌심 증후군. 이러한 심장 질환에서 TV는 조기 판막 고장에 걸리기 쉬우며, 이는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1,2,3,4,5. 이러한 심장 병변의 조기 TV 부전은 TV가 증가된 부피 및/또는 압력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지난 10년 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또 다른 방실 판막인 승모판막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응하여 구조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6,7,8. 그러나 현재의 문헌에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TV 적응을 평가하는 기계론적 연구가 부족합니다. 이러한 측면은 부분적으로 그러한 연구를 가능하게 할 적절한 동물 심장 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문헌에는 우심실에 개별적으로 부피 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모델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심실의 만성 압력과 부피 부하의 조합은 달성하기가 더 어려웠습니다. 문헌에는 우심실에 압력 부하를 가하기 위해 폐동맥 밴드를 배치하고 우심실에 체적 부하를 가하기 위해 심방 중격 결손을 생성하는 동물 모델이 있습니다9. 이 기술은 단단한 폐동맥 밴드가 존재하면 심방 중격 결손을 가로질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션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심실의 만성적인 동시 압력 및 부피 부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었습니다. 그 결과 심방 중격 결손이 더 이상 우심실에 체적 부하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심방 중격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션트는 청색증 동물10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 모델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심방 중격 결손이 있는 동물을 제외해야 합니다.
다른 모델들은 새끼 돼지의 저형성 좌심 증후군에 대한 하이브리드 I기 완화 수술을 활용했다11. 이것은 우심실의 압력과 체적 부하를 결합할 수 있는 회복 모델입니다. 그러나 이 시술에는 재정적으로 엄두를 낼 수 없는 값비싼 풍선 팽창 스텐트가 필요합니다. Zeltser et al.12 및 Lambert et al.13 의 연구는 우심실 유출로와 폐동맥 판막을 절단한 다음 그 위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패치를 꿰매어 Fallot 복구 기술의 경환형 패치 테트라로지를 모방하여 우심실에 부피를 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그런 다음 우심실의 압력 부하가 폐동맥 밴드의 배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모델은 기술적으로 까다로울 수 있으며 우심실 유출로에 심실 절개술 흉터를 남겨 RV 기능과 TV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연구는 심실 절제술 없이 우심실에 가해지는 압력 증가와 체적 스트레스를 결합한 혁신적인 만성 회복 새끼 돼지 심장 모델을 설명합니다. 이 모델은 압력 및 부피 스트레스 요인의 만성적 동시 증가에 대한 TV 적응 변화에 대한 기계론적 연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원고의 프로토콜과 절차는 수의사의 감독 하에 개발되었으며 캐나다 동물 관리 위원회의 지침과 실험실 동물의 관리 및 사용에 대한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앨버타 대학교(University of Alberta)의 기관 동물 관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committee)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원고 절차에 관련된 모든 개인은 적절한 생물 안전성 교육을 받았습니다.
1. 시술 전 준비, 마취 및 접근
2. 폐동맥 판막 교두의 바이옵톰 파괴
3. 폐동맥 밴드의 배치
4. 심초음파검사
모델 검증을 위해 폐동맥 판막 파열 및 폐동맥 밴드 배치로 좌개흉술을받은 10 마리의 새끼 돼지 (중재 그룹, IP)를 좌측 개흉술을 받은 10 마리의 연령 및 성별 대조군 새끼 돼지 (대조군, CP)를 비교했습니다. 기준선에서, 중재 전, 모든 새끼 돼지는 정상적인 우심실 기하학적 구조와 기능을 가진 폐 역류가 없거나 경미했습니다. 대조군에는 가벼운 삼첨판 역류를 보이는 새끼 돼지가 한 마리 있었습니다. 나머지 모든 새끼 돼지는 전혀 또는 사소한 삼첨판 역류가 없었습니다. 개흉술 후 대조군에서 삼첨판 또는 폐 역류에 대한 급성 변화는 없었다. 중재 후, 중재군의 모든 새끼 돼지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폐 역류를 보였으며 한 새끼 돼지에서 삼첨판 역류가 경미한 것에서 경증으로 증가했습니다. 우심실 수축기 기능은 두 그룹 모두에서 정상이었다. 중재군에서는 중재수술의 실현 가능성이나 용이성 측면에서 성별 간에 차이가 없었다.
4주간의 회복 기간 후, 새끼 돼지는 RV 압력의 직접 심장 내 측정을 위한 2차 마취와 초음파 시스템의 매트릭스 X-7 경흉부 변환기를 사용하여 삼첨판 판막의 3차원 심초음파(3DE) 영상과 흉골 절개를 통한 심외막 초음파 영상을 받았습니다. 그 다음에는 안락사와 분석을 위한 심장 적출이 뒤따릅니다. 심각한 폐역류는 중재군 새끼 돼지에서 지속되었다(표 1). 심장초음파검사에서 2차 마취 중 역류자 대 순류 VTI 비율의 중앙값은 0.72(IQR: 0.60, 0.76)였다. 중재군 RV는 더 큰 RV 확장말단 영역(RVEDA)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확장되었습니다. 직접 압력 평가에 의해, 중재군 새끼 돼지의 RV 수축기 혈압 중앙값은 전신 압력의 78%(IQR: 64.8, 82.5)였다. 표본 검사에서 중재 새끼 돼지는 RV 자유 벽과 전방 유두 근육이 더 두꺼웠습니다(그림 4, 표 1). 이러한 지표는 RV에서 효과적인 만성 압력 및 체적 하중을 달성하는 데 있어 모델의 성공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일부 중재군 새끼 돼지에서 삼첨판 역류의 중증도와 RV 수축기 기능 장애의 증거가 악화되었다(표 1).
8개의 새끼 돼지 3DE 데이터 세트(중재군에서 4개, 대조군에서 4개)의 삼첨판 매개변수는 앞서 설명한 대로 맞춤형으로 설계된 MATLAB 소프트웨어21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22. 간단히 말해서, 확장말은 삼첨판 폐쇄 후의 골격으로 정의되었고, 수축기 말단은 삼첨판 판막이 개방되기 전의 골격으로 정의되었습니다. 확장기 말기와 수축기 말기 사이의 프레임 수를 계산하고 수축기 중간을 중간점으로 정의했습니다. 9개의 방사형 평면(20°로 분리됨)을 TV 고리의 중심을 가로질러 얻어졌고(그림 5A), 고리는 수축기 중간의 전단지 힌지 지점에서 묘사되었습니다(그림 5B 노란색 점). 전단지의 3D 표면을 묘사하기 위해 각 평면의 고리에서 고리까지 전단지를 따라 조정 지점이 배치되었습니다(그림 5B 빨간색 선). 모든 포인트는 공간 좌표(x, y, z)로 변환되었으며 독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TV의 3D 모델 및 이전 간행물15,23에 설명된 바와 같은 분석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추출된 x, y 및 z 공간 좌표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는 두 개의 별도 표면, 즉 TV 리플렛에 맞는 표면과 고리에 맞는 표면을 정의했습니다(그림 5C). 환형 굽힘 각도는 굽힘 점에 의해 정의된 대로 전방 및 후방 섹션으로 나누어 측정되었습니다. 이러한 각 섹션의 환형 점은 평면(음이 아닌 최소 제곱)에 맞았으며, 여기에서 굽힘 각도는 각 평면에 대한 법선 사이의 각도로 측정되었습니다(그림 5D). 본 연구의 3DE 예비 소견에 따르면, 중재군 새끼 돼지는 대조군 새끼 돼지와 비교했을 때, 특히 측면 너비 차원에서 삼첨판 환형 확장이 있었다. 그 결과 더 원형 모양의 고리가 생겼습니다. 환형 굽힘 각도는 유지되었습니다. 총 삼첨판 전단지 면적은 중재군 새끼 돼지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표 2). 검체 검사에서, 중재군의 삼첨판 첨판은 주관적으로 더 불투명하고 맥락막(chordae tendineae)이 더 두꺼웠습니다(그림 6).
예비 데이터는 만성 압력 및 용적 과부하와 일치하는 우심실 변화를 유도하는 모델 효과를 뒷받침합니다. 또한, 이 모델은 총 병리학적 검사에서 삼첨판 판막 기하학과 삼첨판 첨판에 대한 상당한 변화를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 1: 외측 개흉술을 통한 수술 중 이미지로, 폐동맥 판막의 바이옵톰 파괴를 허용하기 위해 주폐동맥에 특수 카테터가 노출되고 위치가 지정된 것을 보여줍니다.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2: 성공적인 폐동맥 판막 파열 및 폐동맥 밴드 배치 후의 수술 중 이미지. 모든 카테터와 덮개가 제거되었습니다. 주요 폐동맥 천자 부위가 봉합되어 봉합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3: 분지 폐동맥에서 얻은 맥파 도플러의 심초음파 이미지. 전행 흐름은 파란색으로 윤곽선이 표시되고 역행 흐름은 빨간색으로 윤곽선이 표시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4: 우심실 자유전벽은 사진 촬영 및 벽 두께 측정을 위해 표준 심실 절개를 통해 노출됩니다. 대조군(A)과 중재군(B)의 시료 자돈에서 자유로운 벽 두께.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5: 삼첨판 판막의 3차원 심초음파 데이터 세트 분석. 데이터 세트는 20° 떨어진 9개의 횡단 평면(A)으로 나뉘며, 각 섹터(B)에서 고리 힌지와 전단지 선이 추적됩니다. 삼첨판 고리(노란색)와 첨판(파란색)(C)에 장착된 별도의 표면과 환형 굽힘 각도(D)를 유도하기 위해 삼첨판 고리의 분할된 전방 및 후방 부분에 장착된 별도의 평면.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6: 고리가 있는 삼첨판 판막은 후중격 커미셔너를 절단하여 열리고 사진 촬영을 위해 심실 표면을 노출시키는 편안한 상태로 이미징 스테이지에 배치됩니다. 대조군(A)과 중재군(B)에서 삼첨판 판막을 샘플링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매개 변수 | 새끼 돼지 방제 | 개입 새끼 돼지 | P-값 |
안락사 시 체중 (kg) | 33.8 (28.1, 36.3) | 31.7 (27.7, 37.5) | NS |
RV 수축기 혈압/동맥 수축기 혈압(%) | 30.0 (28.8, 33.3) | 78.0 (64.8, 82.5) | <0.001 |
폐역류 등급 (0-4) | 1.0 (1.0, 1.0) | 4.0 (3.4, 4.0) | <0.001 |
삼첨판 역류 등급 (0-4) | 2.0 (1.4, 2.0) | 3.0 (2.0, 3.6) | 0.02 |
RV 벽 두께(mm) | 4.3 (4.0, 5.1) | 9.3 (8.9, 11.0) | <0.001 |
전방 유두 근육 단면적 (cm2) | 0.4 (0.3, 0.5) | 1.1 (0.9, 1.5) | <0.001 |
RV 끝 이완기 면적 (cm2) | 10.8 (7.9, 12.1) | 20.3 (16.2, 23.8) | 0.004 |
RV 분수 영역 변화(%) | 49.3 (47.7, 55.9) | 32.5 (26.1, 40.5) | <0.001 |
NS는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
표 1. 모델 검증을 위한 중재와 대조군 새끼 돼지 그룹 간의 혈류역학적, 심초음파 병리학적 매개변수의 비교. 데이터 값은 중앙값(25번째, 75번째 백분위수)으로 표시되며 Mann-Whitney U 검정 p-값이 보고됩니다.
매개 변수 | 제어 새끼 돼지 (N=4) | 개입 새끼 돼지 (N=4) | P-값 |
텔레비젼 고리 모양 경계선 (cm) | 8.6 (7.6, 9.3) | 11.4 (10.8, 12.0) | 0.03 |
TV 고리 횡폭 치수(cm) | 2.5 (2.0, 2.7) | 3.8 (3.4, 4.5) | 0.02 |
텔레비전 고리 전후 치수(cm) | 3.1 (2.7, 3.3) | 3.5 (3.3, 3.8) | 0.06 |
TV 고리 너비/전후 치수 비율 | 0.8 (0.7, 0.9) | 1.1 (1.0, 1.2) | 0.02 |
TV 고리 굽힘 각도(도) | 154 (145, 158) | 150 (141, 158) | 0.9 |
TV 리플렛 면적 (cm2) 수축기 중반 | 3.0 (2.7, 3.1) | 5.1 (4.1, 5.5) | 0.03 |
표 2. 중재와 대조 자돈 그룹 간의 삼첨판 3D 심초음파 매개변수 비교. 중앙값(25번째, 75번째 백분위수)으로 표현되며 Mann-Whitney 검정 p-값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심장 모델을 개발하는 동안 몇 가지 고려 사항이 최종 모델 설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새끼 돼지의 나이와 수술 노출
현재의 새끼 돼지 모델을 공식화하기 전에, 이 팀은 절차적 계기 및 노출이 적절한 연령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생후 1주에서 6주에 이르는 새끼 돼지 사체에 대해 작업했습니다. 수술 절차에는 직접적인 심장 초음파 안내가 필요했기 때문에 새끼 돼지는 심외막에 심장 초음파 프로브를 배치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와 시술 장비를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좌측 측면 개흉술이 시술을 위해 주요 폐동맥에 가장 잘 노출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생후 3주에서 4주 경의 새끼 돼지가 수술에 적합한 크기라는 것을 발견했다. 새끼 돼지를 사육한 University of Alberta Swin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re(SRTC)의 연구 수의사 및 동료들과의 논의를 통해, 생후 4주 된 새끼 돼지가 암퇘지에서 지속적으로 젖을 떼고 스스로 먹이를 먹는 가장 빠른 나이이기 때문에 수술 절차, 회복 및 중간 성장에 최적의 생존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자가 수유 능력은 성공적인 수술 후 관리와 부모의 보충 영양 섭취를 피하는 데 필수적이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수술 후 새끼 돼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기구와 튜브가 필요하여 잠재적인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생후 4주경의 새끼 돼지는 생후 4개월에서 6개월이 되면 인간 유아와 동등한 성숙도를 가지므로 빠른 성장 잠재력을 가진 유아 모델을 제공합니다. 또한, 생후 6주령에 나이가 든 새끼 돼지를 사용했을 때, 폐 혈관 저항이 떨어지면 RV가 폐동맥 밴드에 의해 가해지는 급격한 압력 증가를 처리할 수 있는 훈련을 받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생후 6주 된 새끼 돼지는 폐동맥 밴드 조임의 경미한 변화에도 혈역학적으로 더 불안정했으며, 약 절반의 전신 RV 수축기 압력만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폐동맥 밴드를 더 조이면 급성 RV 부전과 낮은 심박출량으로 이어졌습니다.
금식과 수술 전후 진통
우리는 수술 약 3시간 전에 새끼 돼지를 크리프 사료에서 정기적으로 금식합니다. 우리는 이 나이에 단식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수술 전후 저혈당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수술 부위가 횡격막 위에 있기 때문에 흡인, 수술 후 구토 또는 장폐색과 관련된 심각한 우려에 직면하지 않았습니다.
수술 전후 진통제의 경우, 72시간 이상 효과가 있는 특별히 배합된 서방형 부프레노르핀을 사용했습니다. 일반 부프레노르핀은 3-4시간에 한 번씩 근육 주사 또는 정맥 주사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부프레노르핀의 서방성 제형을 투여하면 수술 후 진통이 극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돌발성 통증을 위해 멜록시캄(매일 0.2-0.3mg/kg)과 아세트아미노펜(15mg/kg BID-TID)을 예정된 경구 투여량으로 투여하면 수술 전후 진통이 우수했다.
시술 중 순환 보조
폐동맥 판막이 파괴되고 폐동맥 밴드가 배치되는 동안 심장 조작으로 저혈압 기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에피네프린(0.05-0.15 μg/kg/min)과 노르에피네프린(0.05-0.15 μg/kg/min) 주입의 조합을 사용했습니다. 폐동맥 판막 파열 전에는 폐역류로 인한 급성 부피 부하가 잘 견디지 못할 수 있으므로 혈압이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압을 높은 정상 범위(수축기 혈압 80 – 90 mmHg, 평균 동맥압 70 – 80 mmHg)로 유지함으로써 폐동맥 밴드 배치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빈번한 비지속 심방 및 심실 이태피가 심장 조작 중에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외피는 심방 또는 심실 빈맥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안정한 빈맥을 치료하기 위해 현장에서 제세동기 패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속 조치에서의 이환율 및 사망률
모델 개발 과정에서, 시술 당시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우심실 유출로 열상으로 인한 출혈로 인해 중재 시술 후 한 시간 만에 새끼 돼지 한 마리가 사망했습니다. 열상은 길고 뻣뻣한 바이옵톰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이차적인 것이었습니다. 또한 중재군에 속한 새끼 돼지 한 마리가 감염성 심낭염을 늦게 발병하여 수술 후 두 번째 주에 사망했는데, 이는 탐포네이드를 이용한 심낭 삼출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추적 기간 동안 가장 흔한 이환율은 개흉술 절개 부위의 국소 표재성 상처 감염이었습니다. 이것은 약 40%의 동물에서 발생했습니다. 다행히도 모든 동물은 10일 동안 경구용 세팔렉신을 투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시술 후 3주째에 중재군의 새끼 돼지 몇 마리에서 경미한 심부전 증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놀이 활동 후 호흡수 증가와 호흡 작용 증가로 나타났다. 심부전 증상은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10mg의 푸로세미드로 개선되었습니다.
우리는 폐동맥 판막의 파열과 폐동맥 밴드의 배치를 통해 우심실에 대한 만성 압력과 체적 부하를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새끼 돼지 모델을 설명합니다. 절차 및 후속 작업 중에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사항과 함께 설명됩니다. 이 새끼 돼지 모델을 통해 연구는 우심실과 삼첨판 판막에 대한 결합된 부피 및 압력 부하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 연구 작업은 여성 및 아동 병원 연구소(Women and Children's Hospital Research Institute)를 통해 스톨러리 아동 병원 재단(Stollery Children's Hospital Foundation)이 제공한 넉넉한 보조금을 통해 지원되었습니다.
Name | Company | Catalog Number | Comments |
Drugs | |||
1% lidocaine spray | WDDC | 103365 | Lidodan 30 mL |
atropine sodium injection | WDDC/Rafter 8 Products | 0.5 mg/mL | |
bupivacaine | WDDC/Sterimax | 5 mg/mL | |
buprenorphine HCl slow release injection | Chiron Compounding Pharmacy | 1 mg/mL | |
buprenorphine regular | WDDC/Champion Alstoe | 121378 | Vetergesic 0.3 mg/mL |
cefazolin | WDDC/Fresenius Kabi | 102016 | 1 g/vial |
cephalexin capsule | WDDC/Novopharm | Novo-Lexin 250 mg/capsule | |
epinephrine | WDDC | Adrenalin (1:1000) 1 mg/mL | |
furosemide tablet | WDDC/Novopharm | 10 mg tablet | |
Iodine Scrub/Spray | Cardinal Health | KF22422 | Betadine brand |
ketamine hydrochloride injection | WDDC/Vetoquinol | 131771 | Narketan 100 mg/mL |
midazolam | WDDC/Sandoz | 101100 | 5 mg/mL |
norepinephrine | WDDC | 1 mg/mL | |
pentobarbital sodium | WDDC/Bimeda-MTC | 127189 | Euthanyl 240 mg/mL |
ranitidine injection | WDDC | 25 mg/mL | |
ranitidine tablet | Sanis | 300 mg tablet | |
Surgical Scrub Sponge | Stevens | 333-377479 | 4% CHG Surgical Soap scrub brush |
Equipment | |||
24G peripehral IV catheter | BD | Insyte-N | |
5Fr double lumen central venous catheter | Arrow | CS-14502 | 20cm |
5Fr single lumen umbilical vessel catheters | Covidien/Kendall | 8888160333 | Argyle 15 inches |
6" Chest retractor | RRSMRI | ||
6Fr triple lumen central venous catheter | Arrow | JR-42063-HPHNM | 20cm |
7Fr catheter sheath with flange | Dr. Coe custom designed | ||
Adson forceps | RRSMRI | ||
Aestiva/5 Ventilator | GE Datex Ohmeda | ||
Atraumatic forceps | Teleflex | 351865 | |
bioptome | Dr. Coe lab | Mansfield Biopsy Forceps | |
Curved hemostat | RRSMRI | ||
Curved mosquito hemostat | RRSMRI | ||
Debakey Forceps (Long) | Teleflex | 351804 | |
Debakey Forceps (Narrow) | Teleflex | 351802 | |
Debakey Forceps (Rg) | Teleflex | 351800 | |
Echo probe cover | Civco | ||
Endotracheotube | Stevens | 180-112082055 | Rusch Murphy Eye Low Press. Cuff |
Iris Spring scissors | Fisher Scientific | NC0127560 | |
iSTAT 1 blood gas analyzer | Abbott Laboratories | MN:300-G | |
iSTAT CG4+ cartridges | Abbott Laboratories | 03P85-50 | |
Kelly Hemostat | Fine Science Tools | 1301914 | |
Kocher forceps | RRSMRI | ||
Large Army/Navy Retractor | RRSMRI | ||
Laryngoscope | MACO CE Miller#4 Blade | LA6226-4 | Macolaryngoscope.com |
Liga-clip applicator L | Ethicon | LC430 | |
Liga-clip applicator M | Ethicon | LX210 | |
Liga-clip applicator S | Ethicon | LX110 | |
Metal suction tip | RRSMRI | ||
Metzenbaum Scissors (Lg) | RRSMRI | ||
Metzenbaum Scissors (Md) | RRSMRI | ||
Mixter - long/mid wide | RRSMRI | ||
Mixter - long/narrow | RRSMRI | ||
Mixter - long/wide | RRSMRI | ||
Mixter - short/narrow | RRSMRI | ||
Needle Driver 10" | RRSMRI | ||
Needle Driver 6" | RRSMRI | ||
Needle Driver 7" | RRSMRI | ||
Philips iE33 Echocardiography machine | Philips | X7 and S12 probes | |
pressure line tubing and 3-way stopcock | Dr. Freed lab | ||
Rat tooth forcep | RRSMRI | ||
silastic reinforced sheeting | Bioplexus | SH-21001-040 | 6" x 8" x .040" Gloss |
Small Army/Navy Retractor | RRSMRI | ||
Straight hemostat | RRSMRI | ||
Straight mosquito hemostat | RRSMRI | ||
Sutures: 4-0 and 5-0 synthetic, non-absorbable suture, 2-0 silk | Dr. Freed lab | ||
Towel clamp | RRSMRI | ||
vascular tourniquet | Dr. Freed lab | ||
Weitlaner retractor (Md) | RRSMRI | ||
Weitlaner retractor (Sm) | RRSMRI | ||
Zoll R Series Monitor Defibrillator | Zoll technologies |
JoVE'article의 텍스트 или 그림을 다시 사용하시려면 허가 살펴보기
허가 살펴보기This article has been published
Video Coming Soon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