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19.4 : Z-변환의 속성 II

신호 처리에서 축적 속성은 이산 시간 신호의 누적 합을 분석하고 시간 이동 속성을 사용하여 z-변환을 결정함으로써 도출됩니다. 이 원리는 합산된 신호의 z-변환이 곱셈 인자에 의해 원래 신호의 z-변환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합성곱 속성은 시간 영역에서 두 신호의 합성곱이 주파수 영역에서 z-변환의 곱에 해당함을 나타냅니다. 이 속성은 인과적 신호와 비인과적 신호 모두에 적용됩니다. 합성곱 속성은 시간 이동 속성을 해당 시간 영역 방정식에 적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기값 정리는 신호의 초기값과 z-변환 간의 연결을 설정합니다. 주어진 신호의 경우, 변수가 0에 가까워질 때 z-변환을 평가하여 초기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정리는 특히 z-변환에서 시스템의 시작 조건을 결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반대로, 최종 값 정리는 변수가 1에 접근함에 따라 신호의 z-변환을 조사하여 신호의 최종 값을 결정합니다. 이 정리는 신호가 무한대에서 계속 존재하고 z-변환의 모든 극이 변수가 1이 되는 지점을 제외하고 단위 원 안에 있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이러한 속성은 이산 시간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합니다. 축적, 합성곱, 초기 값 및 최종 값 정리를 활용하면 이산 시간 신호와 z-도메인 시스템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을 숙지하면 신호를 조작하고 변환할 수 있어 이산 시간 도메인 내에서 작동하는 필터와 제어 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Tags

Z transformAccumulation PropertyConvolution PropertyTime shifting PropertyInitial Value TheoremFinal Value TheoremDiscrete time SignalsSignal ProcessingCausal SignalsNoncausal SignalsFrequency DomainPoles Of Z transformSystem AnalysisFilter DesignControl Systems

장에서 19:

article

Now Playing

19.4 : Z-변환의 속성 II

z-Transform

94 Views

article

19.1 : Z-변환의 정의

z-Transform

257 Views

article

19.2 : 수렴 영역

z-Transform

345 Views

article

19.3 : Z-변환의 속성

z-Transform

138 Views

article

19.5 : 부분 분수 확장에 의한 역 Z 변환

z-Transform

253 Views

article

19.6 : Z-변환을 사용한 차분 방정식 솔루션

z-Transform

226 Views

article

19.7 : DFT와 Z-변환의 관계

z-Transform

333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