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VE Logo

로그인

11.6 : 소신호 다이오드 모델

회로에서 다이오드의 동작을 분석할 때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류와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압 사이의 관계는 특히 직류(DC) 바이어스 전압의 효과를 고려할 때 중요합니다. 적용되면 이 DC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전류-전압(I-V) 특성이 기하급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Q 포인트라고 하는 다이오드의 작동 포인트에 영향을 줍니다. 이 바이어스 위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작은 신호를 도입하면 이 Q 지점 주변의 변동에 대한 다이오드의 응답을 조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Figure 1

이 추가 신호 전압의 진폭이 다이오드의 열 전압(V_T)보다 상당히 작게 유지되면 다이오드의 응답은 특성 곡선의 짧은 마디에서 선형으로 근사화될 수 있습니다. 소신호 근사라고 불리는 이 시나리오는 복잡한 지수 관계를 보다 관리하기 쉬운 선형 관계로 단순화하여 총 순시 다이오드 전류(i_D)를 일정한 바이어스 전류 i_D(DC)와 다양한 신호 전류 i_D(AC)의 합으로 볼 수 있도록 합니다.

Equation 1

신호 전류를 신호 전압에 연결하는 척도는 전도율(mhos 단위로 측정)로 표현되며 다이오드 소신호 전도율이라고 합니다. Q점에서 I-V 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입니다. 반대로, 다이오드의 소신호 또는 증분 저항(rd)은 전도율의 반대입니다. 이는 전류의 작은 변화에 대한 다이오드의 저항을 측정하고 열 전압을 바이어스 전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Equation 2

Equation 3

이러한 매개변수는 특히 신호 증폭 또는 감쇠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서 다이오드와 관련된 회로를 설계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합니다.

Tags

Small signal Diode ModelDC Bias VoltageQ PointI V CharacteristicSmall signal ApproximationSmall signal ConductanceSmall signal ResistanceThermal VoltageSignal CurrentSignal VoltageDiode BehaviorCircuit Analysis

장에서 11:

article

Now Playing

11.6 : 소신호 다이오드 모델

Diodes

709 Views

article

11.1 : 이상적인 다이오드

Diodes

623 Views

article

11.2 : 다이오드: 순방향 바이어스

Diodes

827 Views

article

11.3 : 다이오드: 역바이어스

Diodes

504 Views

article

11.4 : 제너 다이오드

Diodes

325 Views

article

11.5 : 다이오드 순방향 특성 모델링

Diodes

441 Views

article

11.7 : 다이오드 역특성 모델링

Diodes

216 Views

article

11.8 : 반파 정류기

Diodes

666 Views

article

11.9 : 전파 정류기

Diodes

691 Views

article

11.10 : 브리지 정류기

Diodes

417 Views

article

11.11 : 클리퍼 회로

Diodes

324 Views

article

11.12 : 클램퍼 회로

Diodes

342 Views

article

11.13 : 전압 배전압 회로

Diodes

432 Views

article

11.14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Diodes

275 Views

JoVE Logo

개인 정보 보호

이용 약관

정책

연구

교육

JoVE 소개

Copyright © 2025 MyJoVE Corporation. 판권 소유